엔비디아 실적 발표 일정 D-데이, 내일 새벽이 운명의 시간이다

728x90

드디어 때가 왔습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내일 새벽에 있어요. 요즘 주식 시장에서 엔비디아 실적만큼 관심을 끄는 게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뜨거운 이슈죠. AI 반도체 시장을 완전히 평정한 젠슨 황의 엔비디아가 과연 이번에도 시장을 깜짝 놀라게 할지, 아니면 고점 논란 속에서 숨고르기에 들어갈지... 정말 궁궁합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일정 D-데이, 내일 새벽이 운명의 시간이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일정, 정확히 언제인가요?

2025년 5월 29일 한국시간 새벽 6시경 엔비디아가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합니다. 미국 현지시각으로는 5월 28일 오후 2시(동부시간 오후 5시)에 컨퍼런스 콜이 진행될 예정이에요. 아, 그리고 실적 자료는 한국시간 새벽 2시 20분경에 먼저 공개된다고 하니까, 진짜 궁금하신 분들은 새벽에 눈 뜨셔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저는... 아침에 일어나서 확인할 생각이지만요 ㅎㅎ
엔비디아 공식 홈페이지 investor.nvidia.com에서 실시간 중계도 볼 수 있으니까, 관심 있으신 분들은 북마크 해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젠슨 황의 대폭로 "美 대중 AI칩 규제는 완전한 실패... 중국 기술력만 키워줬다" - 정보바다

젠슨 황의 대폭로 "美 대중 AI칩 규제는 완전한 실패... 중국 기술력만 키워줬다"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바이든 행정부 초기 95%에 달했지만, 규제 이후 현재는 겨우 50%로 급감했습니다.

www.do7147.com

 

이번 분기 예상 실적, 과연 어느 정도일까?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하는 엔비디아 1분기 매출은 431억 달러 정도예요. 헐... 431억 달러면 한화로 약 59조원인데, 분기 매출이 우리나라 대기업 연매출보다 큰 수준이죠. 미쳤다 진짜.
특히 주목할 부분은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인데요. 전년 대비 74% 증가한 392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체 매출의 90% 가까이를 데이터센터가 차지할 것 같아요.

엔비디아 1분기 실적 예상치

  • 총 매출: 약 431억 달러 (약 59조원)
  • 데이터센터 매출: 약 392억 달러 (전년 대비 74% 증가 예상)
  • 주당순이익(EPS): 0.88달러 (작년 동기 0.61달러)
  • 중국 수출 규제 손실 반영 가능성: 약 55억 달러

주당순이익(EPS)도 0.88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0.61달러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재밌는 건,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수출 규제로 인해 55억 달러 규모의 손실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엔비디아가 중국에 '특별 에디션' AI 칩을 만든다고? 미국 규제 뚫기 작전

엔비디아가 또 한 번 화제의 중심에 섰습니다. 이번엔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를 피해 중국 전용 저가형 블랙웰 AI 칩을 개발한다는 소식이 터졌거든요. 이 뉴스를 보자마자 "아, 진짜 치열하구나"

mynews0334.tistory.com

 

시장이 주목하는 핵심 포인트들

블랙웰 칩의 운명이 갈린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칩인 블랙웰의 매출 실적이 이번 발표의 가장 큰 관심사예요.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서도 예상치가 25억 달러부터 244억 달러까지 천차만별이거든요. 컨센서스는 119억 달러 정도인데, 이게 기대치를 얼마나 웃돌지가 주가 향방을 좌우할 것 같아요.
젠슨 황이 "블랙웰 수요가 놀라울 정도로 강하다"고 했는데, 진짜로 그런지 숫자로 증명해야 할 시간이 왔죠.

중국 수출 규제의 실제 타격은?

H20 칩 수출 금지로 인한 손실이 얼마나 될지도 큰 관심사입니다.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에서 차지하던 점유율이 95%에서 50%로 떨어졌다고 젠슨 황이 직접 언급했거든요.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있을 수 있어요. 사우디아라비아나 UAE 같은 중동 국가들이 AI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어서, 이게 중국 손실을 얼마나 상쇄할 수 있을지가 포인트죠.

호퍼 제품은 여전히 잘 팔리고 있나?

기존 주력 제품인 호퍼 아키텍처 기반 GPU들의 수요가 어떤지도 중요합니다. 블랙웰이 아무리 좋아도 당장은 호퍼로 매출을 만들어야 하니까요.
 

SK하이닉스는 웃을 수 있을까?

우리나라 투자자들한테는 SK하이닉스 주가도 엄청 중요한 이슈죠.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그동안 엔비디아 실적 발표 때마다 희비가 엇갈렸거든요.
최근 3개 분기 연속으로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 SK하이닉스 주가가 하락했어요. 엔비디아가 깜짝 실적을 발표해도 말이죠. 이번에는 과연 다를까요?
SK하이닉스가 최근 TC본더 발주 전쟁에서 한미반도체와 한화세미텍에 동시 발주하는 등 공급망 다변화에 나선 것도 흥미로운 포인트입니다. HBM 수요 급증에 대비한 움직임으로 보여요.

SK하이닉스 TC본더 발주 전쟁, 한미반도체 독점 무너지나

오늘 아침 뉴스를 보며 재밌는 소식을 하나 접했습니다. SK하이닉스가 HBM 제조용 TC본더를 한미반도체와 한화세미텍에 '동시 발주'했다는 내용이었죠. 처음엔 그냥 기업 간 거래처럼 보였는데,

mynews0334.tistory.com

 

주식 전망, 이번엔 어떨까?

옵션 시장에서는 이번 실적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 변동폭이 7.4% 정도로 예상된다고 하네요. 과거 평균 11.3%보다는 작은 수준이에요. 뭔가 시장이 예전보다는 차분해진 느낌?
그런데 진짜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니라 가이던스겠죠. 차기 분기 전망을 어떻게 제시하느냐가 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 같아요.
엔비디아는 지난 5년간 단 한 번도 매출 컨센서스를 밑돈 적이 없어요. 이번에도 '어닝 서프라이즈'는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인데, 문제는 그 초과폭이겠죠.

대선 국면에서 주목받는 국내 AI 주식들, 제대로 파악하고 투자하시죠!

대선 국면에서 주목받는 국내 AI 주식들, 제대로 파악하고 투자하시죠! 곧 다가올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

blog.naver.com

 

2026년 루빈 칩까지 내다보기

개인적으로는 이번 실적도 중요하지만, 젠슨 황이 발표한 루빈(Rubin) 칩 로드맵이 더 흥미로워요. 2026년 하반기에 나올 루빈 칩은 자체 CPU '베라'와 함께 완전히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야심작이거든요.
TSMC 3나노 공정으로 만들어질 예정이고, 성능도 현재 블랙웰 대비 엄청나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돼요. AI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지 정말 기대됩니다.

TSMC 3나노 공정이 역대 최속으로 100% 가동률 달성 - 정보바다

TSMC 3나노 공정이 역대 최속으로 100% 가동률 달성. 보통 첨단 공정이 풀 가동률에 도달하려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TSMC의 3나노는 대량 생산 시작 후 단 5분기만에 100% 가동률을 달성했어요.

www.do7147.com

 

마무리하며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이제 정말 코앞으로 다가왔네요. 개인적으로는 이번에도 깜짝 실적을 낼 것 같긴 한데, 주가 반응은 좀 더 차분할 것 같아요. 워낙 기대치가 높아져서 웬만한 호실적으로는 시장을 놀라게 하기 어려울 테니까요.
그래도 AI 시대의 절대강자 엔비디아의 행보는 계속 지켜볼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특히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엄청나니까, 관심 있게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내일 새벽, 과연 젠슨 황이 또 한 번 시장을 깜짝 놀라게 할지...
정말 기대되네요!
이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과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암호화폐와 주식 투자는 높은 위험을 수반하므로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엔비디아 #실적발표 #젠슨황 #AI반도체 #블랙웰 #SK하이닉스 #HBM #루빈칩 #데이터센터 #GPU #주식투자 #테크주 #반도체 #인공지능 #나스닥 #미국주식 #중국수출규제 #사우디투자 #옵션시장 #어닝서프라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