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주에 슈퍼컴퓨터 쏘아올리다! 미국과 한판 벌일 기술력의 끝은?

728x90

오늘은 놀라운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우주 개발과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으로 지금 세계 무대에서 엄청난 일이 벌어지고 있거든요. 중국이 우주에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는 소식, 들어보셨나요?

이번 뉴스를 접하고 솔직히 좀 놀랐습니다. 우리가 상상해왔던 SF 영화 속 이야기가 현실이 되고 있다니... 지구에서 쓰던 컴퓨터를 우주에 띄우는 게 아니라, 아예 우주에 컴퓨팅 센터를 구축한다니 상상이 가시나요? 지금부터 중국의 야심찬 우주 슈퍼컴퓨터 프로젝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우주에 슈퍼컴퓨터 쏘아올리다! 미국과 한판 벌일 기술력의 끝은?

 

삼체 프로젝트, 중국의 우주 슈퍼컴퓨터 시작되다

지난 5월 14일, 중국은 세계 최초로 우주 슈퍼컴퓨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중국 주취안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2D 로켓을 발사해 총 12개의 컴퓨팅 위성을 지구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시켰죠.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삼체(三體) 컴퓨팅 위성군'인데, 저도 처음에는 이 이름이 왜 '삼체'인지 궁금했습니다. 아마도 중국 SF 소설 '삼체'에서 영감을 받은 게 아닐까 싶은데, 그 소설도 우주와 관련된 내용이니까요. 사실 이 위성들은 통신 중계기 역할운 하면서도 우주에 떠 있는 '컴퓨팅 센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각 위성에는 80억 매개변수를 가진 AI 모델이 내장되어 있어요. 이렇게 첨단 기술을 실은 위성을 우주로 쏘아올린다니, 중국의 기술력이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실감이 납니다.

 

성능은 우주에서 744조 연산이 가능한 위성들

이 위성 한 대의 성능이 얼마나 되는지 아세요? 각 위성은 초당 744조회의 연산(TOPS)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 노트북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수준이죠. 제 컴퓨터가 좀 느리다고 불평했던 제가 부끄러워지네요.

12기의 위성이 모두 연결되면 초당 5페타 연산(POPS, 5000조 연산)이 가능한 시스템이 완성됩니다. 게다가 30테라바이트의 저장 공간까지 갖추고 있어요.

📱 여러분의 스마트폰 저장 공간은 몇 GB인가요? 테라바이트는 그 1,000배입니다. 그것도 30개나 되는 저장 공간이 우주에 떠 있다니, 상상이 가시나요?

이 위성들은 100Gbps 속도의 레이저 통신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빠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합니다. 지상의 인터넷 속도가 보통 100Mbps 수준인 걸 생각하면, 이건 1,000배 빠른 속도입니다. 우주에서 그런 고속 통신망이 구축된다니, 미래가 벌써 와 있는 것 같네요.

2800기 위성으로 이루는 중국의 우주 슈퍼컴퓨터

이번에 발사한 12기의 위성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중국의 최종 목표는 무려 2,800개의 위성을 궤도에 배치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초당 1,000페타플롭스(PF)의 연산능력을 갖춘 엑사급 슈퍼컴퓨터가 완성된다고 해요.

여기서 조금 설명을 더하자면, 1페타플롭스는 1초에 1,000조번 계산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1,000페타플롭스면 1초에 100경번의 계산이 가능하다는 거죠. 스마트폰으로 간단한 계산 한 번 하는데도 시간이 걸리는데, 상상이 안 되는 수준입니다.

 

현재 지구에서 가장 성능 좋은 슈퍼컴퓨터는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엘 캐피탄'으로, 연산속도가 약 1,700페타플롭스(1.7엑사플롭스)입니다. 중국이 우주에 구축하려는 시스템은 지상 최고의 슈퍼컴퓨터에 근접하는 성능을 우주에서 구현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인 거죠.

저장랩은 올해 50개 이상의 컴퓨팅 위성을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하나둘 위성을 늘려가면서 최종 목표인 2,800기에 도달하려는 것 같습니다. 중국의 집요함과 추진력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왜 우주에 슈퍼컴퓨터가 필요할까?

여기서 의문이 들지 않나요? 왜 굳이 지구에 두면 될 컴퓨터를 우주에 올려야 하는 걸까요? 실은 이게 정말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현재는 우주에서 수집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지구로 보내야 합니다. 그런데 지상 기지국이 충분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도 제한되어 있어 데이터 전송에 병목 현상이 발생합니다. 간단히 말해, 우주에서 모으는 데이터가 너무 많아 다 받아내지 못하고 있는건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지 않고 우주에서 바로 처리하는 방식을 선택한 겁니다. 왕젠 중국 저장연구소 소장은 "전통적인 위성 데이터 처리의 병목현상을 극복하고 우주에서 AI 응용 및 개발을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게다가 우주에 있는 컴퓨터는 태양 에너지를 직접 사용할 수 있고, 열을 우주로 바로 방출할 수 있어 냉각 비용도 절약됩니다. 지구에서는 슈퍼컴퓨터를 식히기 위해 엄청난 양의 전기를 소비하는데, 우주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죠. 환경에도 좋은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중 우주 경쟁, 새로운 격전지는 컴퓨팅 파워

사실 이 프로젝트에는 과학적 목적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명백히 중국과 미국의 기술 경쟁, 특히 우주 경쟁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죠. 미국의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스타링크가 이미 6,750개 이상의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고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중국도 그에 맞서 자신들만의 우주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중요한 건 이 위성들이 AI와 첨단 기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우주 슈퍼컴퓨터를 목표로 한다는 점입니다. 이게 인터넷을 제공하는 스타링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버드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 센터의 천문학자 조너선 맥도웰은 "이는 지구 밖 컴퓨팅 모델에 대한 중요한 시험 단계"라며, "앞으로 중국뿐 아니라 미국과 유럽도 우주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습니다. 즉, 이번 중국의 시도는 전 세계적인 트렌드의 시작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마치며

중국의 야심찬 계획이 성공한다면, 우리의 일상생활도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우주에서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데이터는 지구 관측, 기상 예측, 재난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테니까요. ADA Space 대표에 따르면, 이 위성들은 연구, 비상 대응, 게임, 관광 등에 사용할 수 있는 3D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처리 과정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해요.

우리가 한번 상상해보면, 앞으로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지구 관측 데이터를 받아보거나, 우주에서 처리된 고급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치 SF 영화에서나 볼 법한 일들이 현실이 되고 있는 거죠.

우주에 컴퓨터를 두는 것,  예전에는 상상도 못 했던 일인데, 이제는 실제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10년 안에 우리가 어떤 기술을 사용하게 될지, 솔직히 저도 기대가 됩니다.

 이는 우주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인류의 데이터 처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혁명적인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다른 국가들의 후속 움직임도 주목해봐야 할 것 같네요.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주에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것이 정말 필요한 일일까요? 아니면 지구에 더 투자하는 것이 나을까요?

그리고 이런 기술 경쟁이 인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